티스토리 뷰

구글 야후 MS "검색쉬운 사이트규격 합의 "

구글 야후 MS "검색쉬운 사이트규격 합의 "


구글·야후·MS, "웹 색인화 돕는 사이트맵 규격 합의"

  전 세계 인터넷 시장서 3강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구글(Google), 야후(Yahoo),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웹사이트 맵핑 표준(Web Site Mapping Standard)에 합의했다.

  15일(현지시각) 해외 주요 언론들의 보도 및 공식 블로그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합의한 ‘사이트맵 0.90(Sitemaps 0.90)’은 콘텐츠 제작자가 검색엔진에 콘텐츠를 제공할 때
  ‘통합 규격(unified format)’에 따라 크롤링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업체들이 이 공개 프로토콜(open protocol)에 합의한 것은 인터넷에 있는 정보들을 좀 더 쉽게 찾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팀 마이어(Tim Mayer) 야후 글로벌 웹 검색 담당자는 “그 동안 대부분의 웹사이트 운영자들은 검색엔진에
  콘텐츠를 제출하기 위해 통합 규격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며 “동적 URL로 구성되어 있는
  쇼핑 홈페이지와 같이 크롤러가 이해하기 어려운 웹사이트가 많기 때문에,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표준 데이터를 건네주면, 검색엔진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검색엔진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사이트는, 그 만큼 검색에 많이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따라서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사이트맵(Sitemap, http://www.sitemaps.org)   단순화 된 XML 파일의 한 종류다. 이 파일에는 해당 웹사이트 디렉토리 구조 및 메타데이터가 담겨 있다.
  일종의 웹사이트 지도인 셈이다. 검색엔진 크롤러는 모든 웹사이트의 구조를 한 번에 파악할 순 없다.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크롤링 해 효율적으로 색인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이트맵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사이트맵을 통해 원하지 않는 색인화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사이트맵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해당 검색엔진에 등록되는 것은 아니다.
  크롤러에게 더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힌트’를 주는 것에 불과하다.
  사이트맵 프로토콜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sitemaps.org/protocol.html 를 참고하면 된다.


◆크롤러(crawler)

  웹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문서를 색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각 검색엔진들은 새로운 웹 페이지를 찾아 종합하고 자신들의 색인을 추가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크롤러를 사용한다.

세계일보 인터넷뉴스부 서명덕기자 mdseo@segye.com

보도자료 및 제보 bodo@segye.com, 팀 블로그 http://in.segye.com/bodo

출처 : Tong - 오리포털님의 구글통

 - 참고 사이트 -
사이트맵 한글사이트 : http://www.sitemaps.org/ko/
구글 웹마스터 도구 : https://www.google.com/webmasters/tools/siteoverview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