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검색엔진최적화

  • 검색엔진 최적화 개요

    • 검색엔진 최적화란 자신의 사이트가 검색엔진에서 키워드 검색을 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영어로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라고 한다.
    • 인터넷 사용자가 새로운 정보를 얻고자 할 때 검색엔진을 통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이트 홍보에서 빠질 수 없는 전략으로 SEO가 거론된다. SEO는 키워드검색광고와는 달리 광고비 지출 없이 무료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으나 검색엔진 상위랭킹을 위해서 다른 사이트들도 동일하게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므로 역시 키워드랭킹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많은 노하우가 필요하다.
    • 다음의 자료는 SEO의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iProspect 2004년 5월 자료)
      • 구글, 야후, MSN, AOL 사용자의 60.5%는 광고보다는 검색엔진에서 제공하는 결과를 가장 적합한 결과로 선택한다.
      • 구글 사용자의 72.3%는 광고보다는 검색엔진에서 제공하는 결과를 가장 적합한 결과로 선택한다.
      • MSN 사용자의 71.2%는 광고를 적합한 결과로 선택한다.(MSN 검색엔진 성능이 안 좋아서 그럴 수도 있고, 광고가 잘 선정된 결과로 해석할 수도 있다)
      • AOL 사용자의 경우 광고와 검색엔진결과를 반반 정도로 선택한다.
    • 이런 이유로 SEO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도 생겨 났으나 상위랭킹. 특히 첫페이지내 랭킹을 보장한다고 하는 광고는 대체로 과대광고일 확률이 높다.
  • [WWW]구글 상위랭킹을 위한 검색엔진 최적화 요소 118가지(번역) (구글 검색순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총망라되어 있으나 이해하기가 좀 어렵고, 각 요소별 중요도가 나타나 있지 않음)
  •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요소들 (구글 검색순위를 좌우할 요소들과 전문가들이 보는 요소별 중요도)
  • [WWW]검색엔진최적화, 검색엔진마케팅 용어정리(EC21)
  • 웹사이트의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한 네 가지 중요한 단계(Donald Nelson)

    • 검색엔진 최적화에 대한 약간의 오해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SEO가 특정사이트의 검색 순위 높이기를 위한 일종의 속임수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은 SEO가 너무나 복잡하여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들은 모두 옳지 못하다. 웹사이트 설계의 예술이자 과학으로 불리는 SEO는 웹사이트를 잘 설계하여 이것을 검색엔진 및 사용자 모두에게 친숙하게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래는 당신의 웹 페이지를 최적화하기 위해 거쳐야 할 네 가지 기본 단계이다.
    • 웹 디자인은 그래픽이 아니라 텍스트를 강조하여야 한다.

      “친親검색엔진(search engine friendly)”은 검색엔진이 당신의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찾아 그 정보를 자신(검색엔진)의 데이터베이스에 쉽게 저장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비록 하나의 이미지가 수 천자의 단어가 내포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검색엔진은 이미지가 아닌 텍스트를 통하여 정보를 분류한다. 만약 당신의 오프닝 페이지에 매우 멋진 바다그림과 함께 “enter here”라는 두 단어만 포함하고 있다면 이 사이트는 키워드 “Florida Vacations” 검색결과의 상위에 위치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사이트를 대표하는 키워드는 가급적 gif나 jpeg 와 같은 이미지로 나타내지 말아야 한다. 또한 플래쉬나 이미지로만 장식되어 있는 페이지는 친검색엔진이 아닐뿐더러 사용자에게도 친숙하지 않다.

    • 내부 페이지로의 링크는 검색엔진에 의해 쉽게 검색되어야 한다.

      당신이 기억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당신이 원하는 바가 메인 페이지만 검색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내부 페이지 또한 검색엔진 인덱스에 포함되길 원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메인 페이지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내부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무시하지 못할 많은 사람들은 내부페이지 정보를 검색엔진으로 직접 찾아서 바로 내부로 이동한다. 내부 페이지로 가는 텍스트 링크를 메인 페이지에 포함시킨다면 검색엔진이 내부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자바스크립트나 이미지를 활용한 네비게이션을 사용한다면 검색엔진이 내부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사이트 하단에 텍스트로 된 링크를 추가하는 것이 좋겠다.

    • 각 페이지는 특정 키워드에 관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로봇 검색엔진과 인간 사용자들은 한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그것은 그들 모두가 당신의 사이트 및 페이지가 무슨 내용을 담고 있는가를 밝혀내려고 한다는 것이다. 하나의 페이지에 서로 다른 서른 개의 검색대상 용어가 존재한다면 그 사이트는 검색엔진 상위에 랭크되기 힘들 것이다. 반면, 주제의 여러 가지 다른 측면들에 대한 설명과 중요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독립적인 페이지를 나누어 만드는 것은 가능하다. 이들 하위 페이지들은 각각의 다양한 키워드에 대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 키워드 배치도 고려하여야 한다.

      만약 당신의 사이트가 “Florida Vacations”에 관한 것이라면, 이러한 단어가 당신 HTML 페이지의 다음 부분에 위치하여야 한다.

      1. 파일명 및 URL

        만약 당신의 사이트가 www.floridavacations.com이라면 이 사이트는 “Florida Vacations” 대한 검색결과, 페이지 상단에 위치할 것이다. 만약 당신의 회사명이 XYZ Travels라면, URL을 www.xyztravels.com/floridavacations.html로 만듦으로써 좋은 검색결과를 낼 수 있다. URL이나 파일명은 검색엔진의 중요한 검색지표이므로 당신의 메인 도메인이나 파일명에 중요 키워드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라.

      b. 타이틀 태그 (title tag)

        브라우저 상단에 파란색으로 되어있는 부분에 있는 텍스트를 타이틀 태그라고 한다. 이 타이틀 태그는 문서의 <head> 섹션에 위치한다. 만약 당신의 주요 키워드가 “Florida Vacations”이라면 해당 HTML 문서의 타이틀 태그는 <title>Florida Vacations: Florida Vacation Information by XYZ travel</title> 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있어야 한다.
      c. 디스크립션 태그 (description tag)

        디스크립션 태그는 해당 페이지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검색엔진이 사용자들에게 검색된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때 이 태그가 때때로 사용된다. 디스크립션 태그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당신 페이지를 클릭하고 방문하고 싶도록 만들어야 한다. 동시에 이 태그는 URL이나 타이틀 태그에서 사용된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 사이트에 대한 디스크립션 태그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meta name="description" content="Florida Vacations: Plan your Florida vacation with the help of XYZ travels. You will find up-to-date information and the best rats on accommodations, entertainment, and transportation in Florida on our website.">.
      d. 헤드라인

        사람이 신문을 읽으며 중요한 정보를 얻을 때 헤드라인을 관심 깊게 보는 것처럼 검색엔진로봇 또한 특정 사이트의 핵심적 내용을 추출하기 위해 헤드라인을 본다. 주요 어구를 헤드라인에 넣고 이 헤드라인을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라. 헤드라인 텍스트는 <h1>, <h2>, <h3>와 같은 특별한 헤더 태그로 나타내야 한다. 우리의 플로리다 관광사이트에 대한 헤드라인은 다음과 같을 수 있겠다. <h1>Florida Vacations: Plan Your Vacation Now And Save Mony on Accommodations, Entertainment and Transport in Florida</h1> 만약 h1태그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조금 작은 태그인 h2나 h3를 사용하여도 좋다. 아니면 당신 사이트의 스타일을 조정하여 h1태그가 본문과 어울릴 수 있도록 작은 글꼴로 표시되게 하라.
      e. 본문

        주요 키워드 및 어구는 본문의 첫 문단부터 본문 중간, 그리고 본문의 끝에 이르기까지 자연스럽게 배열되어야 한다. 일반적 작문의 경우, 당신은 주로 처음에 글의 주제를 언급할 것이고 중간에 그것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며 마지막에 그것을 요약할 것이다.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경우에도 같은 절차를 따르라. 이러한 스타일로 작문한다면 그 페이지는 자동적으로 적당한 키워드 밀도와 분포를 가지게 될 것이다.
      f. 앵커 텍스트

        앵커 텍스트는 특정 페이지에서 클릭 가능한 부분을 일컫는다. 이제 방문자들이 당신 사이트의 내부 페이지로 이동하여 플로리다 휴가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런 경우 그냥 “click here”라는 링크를 만드는 대신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about Florida Vacations", 가 좋으며 이보다 "Florida Vacations"가 더 좋다.
      만약 웹사이트를 구축할 때 이와 같은 SEO 단계를 따른다면 당신의 웹사이트는 방문자들에게는 이해하기 쉬운, 검색엔진들에게는 분류하기 쉬운 페이지들로 구성될 것이다.
  • SEO를 위하여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실수 (2006.9.23)

    • 모든 페이지의 title 태그가 똑같은 사이트
      • title 태그에 적는 내용은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고 브라우저 상단에 나타나므로 웹기획자는 신경을 쓰지 않고 개발자 역시 아무런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는 그 자리에는 사이트명이나 회사명이 똑같이 복사에 복사가 되어 사이트의 수천페이지가 title이 동일한 경우가 적지 않다. SEO 관점에서는 엄청난 실수이다.
    • 이미지, 플래시로만 메뉴를 구성하는 사이트
      • 플래시는 검색엔진이 보기에는 블랙박스이다. 메뉴에 무엇이 있는 지를 모른다. 마찬가지로 이미지와 자바스크립트로 현란하게 메뉴를 꾸며놓은 경우에도 검색엔진이 이해하기 어렵다. 이미지로 메뉴를 구성해야 한다면 반드시 alt 태그를 사용하여 그 메뉴가 무엇인지 검색엔진에 알려주어야 한다. 사이트의 메인메뉴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2차, 3차 서브메뉴도 마찬가지이다.
      • 그리고 페이지 하단에 텍스트로 메뉴링크를 구성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링크를 자바스크립트로 걸어 놓는 사이트
      • 링크에 url(웹주소)을 걸지 않고 자바스크립트로 걸어 놓는 경우에 검색엔진이 링크를 따라가기 곤란하다. 프로그램으로 처리하는 화면의 경우 스크립트로 처리하면 HTML코드가 콤팩트해질 수 있으므로 무심코 스크립트처리를 하게 되지만 검색엔진이 자바스크립트까지 해독하면서 링크를 추적해주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 이미지에 alt 태그를 넣지 않는 사이트
      • 아무리 눈에 띄는 이미지라도 검색엔진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이 무엇에 관한 이미지인지 모른다. 이미지 src태그에 alt 태그를 넣어서 이미지를 설명해주면 검색엔진도 금방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검색엔진에서는 이 alt 태그를 주요한 데이타로 검색하게 된다. 구글 이미지검색은 구글검색의 10%를 넘는 트래픽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alt태그가 잘 걸려 있는 이미지들이 배치된 웹페이지는 검색엔진에게 좋은 품질의 웹페이지라는 것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alt태그의 이점은 마우스커서가 이미지 위에 올라갈 때 툴팁(말풍선)이 표시된다는 것, 시각장애인이 TTS(텍스트-음성변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핑할 때 이미지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데도 있다.
      • 물론 alt태그를 붙일 이미지는 내용이 있는 이미지이다. 특히 키워드와 관련이 있는 이미지에 키워드가 들어간 내용으로 alt 태그를 넣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페이지 데코레이션을 위한 이미지(예. 불릿이미지, 조각이미지 등)에 alt 태그를 넣자는 것이 아니다.
    • 검색엔진의 접근을 막는 사이트
      • 웹로그에 특정 IP의 접속이 많은 것을 보고 그 IP를 막는 경우가 생긴다. 문제는 검색엔진로봇은 원래 사이트 전체를 뒤져가기 때문에 접속이 많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런다고 IP를 막아버리면 해당 검색엔진에 대한 최적화는 물건너 가버린다. 현재 글로벌 메이저 검색엔진은 Google, Yahoo, MSN 이다. Ask.com은 트래픽 기여도는 높지 않으나 로봇이 많은 활동을 한다. 한국에서는 네이버, 엠파스 등도 활동이 있다. 중국 최대의 검색엔진 baidu.com의 로봇 역시 활동이 왕성하다. 웹로그에는 'Googlebot', 'Yahoo! Slurp', 'msnbot', 'Baiduspider' 등과 같이 로봇이라는 흔적이 남아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검색엔진로봇의 접근이면 막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중요한 내용을 통째로 이미지로 만들어 구성한 사이트
      • 페이지를 보기좋게 꾸미느라고 텍스트를 이미지로 만들어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특히 제목이나 도입부에 해당하는 내용을 세련된 폰트를 사용하여 이미지에 집어 넣는 경우가 많은데 그 페이지에 대해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단서들을 없애버리는 결과가 된다. 여러 문장의 텍스트를 이미지로 처리해버리는 것은 피해야 하고 디자인을 위해서 꼭 제목을 이미지로 표현해야 한다면 alt 태그를 붙여주어야 할 것이다.
    • 웹주소를 쓸데없이 복잡하게 유지하는 사이트
      • url(웹주소)도 검색엔진에게는 그 페이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로 활용된다. 보안을 유지하고 싶은 사이트는 여러가지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타를url에 넣어 활용해도 상관없지만 검색엔진최적화를 고려하는 사이트라면 url은 간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페이지의 경우 필요한 변수들을 program?arg1=val1&arg2=val2&arg3=val3 등과 같이 나열하게 되는 데 최적화를 원하는 페이지가 무엇인지 고민해서 그 페이지는 다른 변수들은 디폴트처리를 하고 program?arg1=val1 과 같이 변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링크에 "여기를 클릭", "클릭하세요"라고 적는 사이트
      • 링크에 적혀 있는 텍스트는 검색엔진이 링크된 페이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활용된다. "클릭", "여기", "다운로드" 등 키워드와 상관없는 말만 있으면 마이너스가 된다. 반드시 키워드를 담아서 링크를 구성해야 한다. 예를 들면 검색엔진 최적화에 관한 내용이면 "검색엔진 최적화의 기본",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한 충고", "검색엔진 랭킹 체크 프로그램 다운로드"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클릭할 것을 유도해야 한다면 "[WWW]검색엔진최적화를 클릭하세요"와 같이 표현하면 되고, 다운로드를 하게 하는 경우에는 클릭하세요 대신에 다운로드하세요라고 하면 될 것이다.
  • 구글랭킹업데이트

    • 구글랭킹이 2005년 10월경 큰 요동이 있었다. 다음 글은 SEO 전문가가 쓴 영문원고를 직접 번역한 것인데, 검색엔진최적화에 관심있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출처 : http://www.impact.pe.kr/ecmaster/wiki2/moin.cgi/_b0_cb_bb_f6_bf_a3_c1_f8_c3_d6_c0_fb_c8_ad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